구분 | PER | PBR | PSR | PCR |
산식 | 주가 / EPS | 주가 / BPS | 주가 / SPS | 주가 / CPS |
내재 가치 |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 BPS = 자기자본 / 발행주식수 | SPS = 매출액 / 발행주식수 | CPS = 현금흐름 / 발행주식수 |
평가 가치 |
수익성 | 청산가치 | 성장성 | 현금흐름 |
장점 | 기업본연의 가치인 수익 창출 능력을 가장 잘 반영 |
적자기업에도 적용이 가능 계속기업의 전제가 필요 없음 |
기술력이 있는 신생 벤처 기업의 평가에 유용, 적자기업 평가 기능 |
PER을 보완(발생주의회계 단점 보완) 흑자도산가능성이 있는 기업평가에 유용 |
단점 | 적자기업 적용 불가, 계속기업의 전제가 필요 |
인적자원 반영 불가, 장부가 -시장가 괴리 |
저부가가치기업의 고평가여지 |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이익비율)
1.적정주가 추정 : 적정주가 = EPS * 적정PER(적정PER에는 비교대상기업의 PER 사용)
2. PER 이용시 유의점 : 분자의 주가는 분석시점의 현재 주가, 분모의 EPS는 다음 기의 예상 EPS는 다음 기의 예상 EP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ER은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3. Gordon모형의 PER = P / E = 1-b / k-g = 1-b / k-b*ROE
- PER은 성장률(g)과는 양의 관계, 자본비용과는 음의 관계가 있다.
- 배당성향(1-b)과 PER의 관계 : 유보율(b)이 분자, 분모 모두에 위치해서 일정한 관계가 없으나, k > ROE 이면 배당성향(1- b)과 PER은 양(+)의 관계, k < ROE이면 음(-)의 관계가 있다.
PBR(price Book - value ratio = MV/BV
1. Gordon모형의 PBR : MV / BV = ROE*(1-b)(1+g) / k-g 또는 MV/BV = ROE*(1-b) / k-g
그러므로 PBR은 ROE와 +의 관계, 위험(K)과는 (-)의 관계에 있다.
k < ROE이면 PBR은 1보다 크고, g가 높을수록 커진다.
2. 적정주가 추정 : 적정주가 = BPS * 적정PBR(적정 PBR에는 비교대상기업의 PBR 사용)
3. PBR = ROE * PER = 순이익 / 순매출 * 순매출 / 총자산 * 총자산 / 자기자본 * PER
= 마진 * 활동성*(자기가본비율의 역수) * PER
4. PBR VS 토빈의 Q
PBR | 토빈의 Q |
주가 / 주당순자산 = 시가총액 / 자기자본(장부가) | 자본의 시장가치 / 순자산의 실물대체비용 = 시가총액 / 자기자본(시가) |
- 토빈의Q비율은 자기자본을 '시가'로 평가함으로써 PBR의 장부평가 문제를 보완한다
- Q > 1이면 기업경영을 효율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며, Q< 1이면 적대적 M&A의 타겟이 된다
(시가총액으로 주식을 매입해서 기업순자산을 매각한다면 이익)
PEGR = PER / 연평균 EPS 성장률
1. PER이 낮다고 해서 주가상승가능성이 높다고 보는것은 단편적인 시각이다.
- PER은 성장지표라고 할 수 있는데, PER이 낮은 것은 성장성이 낮음을 의미하므로, PER이 낮다고 해서 바로 주가상승 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 가치투자입장에서 저 PER주를 선호하는데, 주가가 상승하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인내햐애 하는 경우가 많다.
2. PEGR이 낮다면 주가상승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 PEGR이 낮다는 것은 기업성장성 대비 PER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성장성이 주가에 반영될 여지가 높기 때문이다.
그밖에 EV / EBITDA 비율
1. EV = 시가총액 + 순차입금
2. EBITDA는 현금유출이 비용인 감가상각비가 더해져서 현금흐름을 잘 반영한다,
3. 유사기업의 EV/ EBITDA를 활용하여 공모가를 추정할수 있다.
4. 당기순이익으로 평가하는 PER의 한계점을 본완하고, 기업자본구조를 감않나 평가(분사항목)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렇게 여러가지 기업분석 상대가치평가모형으로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여, 미래의 기업의 가치에 대해 측정하여, 가치 있는 투자를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